캐나다 토론토 대학 아담 앤더슨 교수 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즐거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사진 또는 우울한 분위기의 사진, 그리고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사진을 보여주면서 뇌 움직임을 관찰하고 설문조사를 했다.
그 결과 좋은 분위기의 사진을 봤을 때는 사진 속 얼굴뿐만 아니라 주변 배경까지 기억하는 비율이 높았다. 뇌 영상 촬영 결과도 좋은 감정일 때 시각 담당 뇌 부위가 더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반면 우울한 분위기의 사진에 대해서는 참가자들이 중심부만 보고 주변부는 잘 보지 않는 ‘터널시각’ 현상을 보였다. 뇌 시각 담당 부위도 덜 활성화됐다.
앤더슨 교수는 이런 결과에 대해 “좋은 감정일 때는 말 그대로 세상을 보는 창이 더 넓어진다”며 “그러나 부정적 감정일 때는 위험한 기계를 다룰 때처럼 심각한 사안에만 집중하고 주변 상황은 보지 않게 된다”고 말했다.
이 연구 결과는 ‘신경과학 저널(Journal of Neuroscience)’ 최신호에 발표됐으며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 온라인 판 등이 4일 보도했다.
[기사원문]
Posted by yellowsubmarine